지워지지 않는 마법처럼 신비한..

마음의 상처치유는 상처 안에 자리잡고 있는 분노, 노여움, 적개심 같은 부정적인 감정부터 파악해야 한다. 강한 감정 일 수록 그 감정에 사로잡혀 있고 감정이 나를 통제하고 있기에 쉽게 파악할 수가 없다. 우리는 주로 지성만을 발달시켜 왔고 마음의 소리에는 귀를 기울이지 않았기에 우리 안에 일어나는 부정적 감정들을 파악하는데 익숙하지 않다.
하루를 살면서 언제부터 우울해졌는지 왜 우울하게 되었는지 잘 모른다.
사실 우리는 그 동안 감정을 함부로 표현하는 것은 경박하고 점잖지 못하다는 교육을 받았다. 그래서 우리 대부분은 가져야할 감정과 갖지 말아야할 감정 목록 표를 가지고 다닌다. 그래서 가져서는 안될 감정이 생기면 즉시 억압해 버린다.
"화를 내지 말아라' '크게 웃지 말아라' 이러한 제약 때문에 우리의 감정은 자신도 모르게 둔해져 간다. 감정도 표현하지 않으면 퇴화하듯이 화나는 감정을 늘 억제하다 보면 나중에는 화가 난다는 것조차 느끼지 못한다.
감정은 단순히 심리적인 움직임이 아니라 인간 실존의 본질이며 삶을 이루는 근본이기에 인간은 감정의 사슬에서 풀려나야 한다.  
분노, 두려움, 슬픔, 죄책감, 후회의 감정에 젖어있으면 있을수록 쌓여 가는 것은 원망 뿐이요, 파괴되어 가는 것은 나 자신뿐이다. 부정적 감정을 억누르거나 처리하는 데는 에너지가 배로 소모되고 슬픈 감정을 제대로 처리하지 못하면 나중에는 우울증으로 발전된다.
감정의 사슬에서 자유로 와지고 풀려나기 위하여 다음 단계를 생각해본다.
첫째:  자기 안에 있는 감정을 있는 그대로 보고 받아들이는 일이다.
사소한 감정, 유치한 감정일수록 더 신경 쓰고 받아들여야 한다. 감정이란 억누르면 억누를 수록 격해지고 마침내 폭발한다. 작은 불빛이 방안 전체를 밝히듯이 사소한 감정의 불꽃이 내 마음 전체를 지배 할 수 있다.
사람들은 자신의 부정적 감정을 인정하면 영원히 그런 부정적 감정에 지배되는 것은 아닐까 두려워한다.  감정에는 윤리성이 없지만 감정을 표출하는 행동, 즉 나뿐 줄 알면서도 택한 감정적 행동이 윤리성을 부여 할 수 있다.
아무리 부정적인 감정이라 해도인정하고 소중하게 다루면 긍정적 힘이 될 수 있다. 때로는 감정을 보고 인정하는 것만으로 치유가 된다.
자기 안에 도사린 부정적인 감정들을 올바로 파악하고 인정할 때 변화가 시작되고 치유가 시작된다."하나님께 대한 예배와 찬양, 기도에 드리는 많은 시간들을 자기 이해에 사용한다면 많고 풍성한 열매를 맺을 수 있다."는 것이다.
하루를 살면서 자신의 감정을 투명하게 의식하고 귀를 기울여 줄 때 우리 안에  있는 상처들은 치유되기 시작하고 자신을 위한 성장의 시작이 되는 것이다.
둘째,  파악된 감정을 표현하라.
표현하지 않고 억압하고 있는 부정적 감정을 후에 정신질환으로 나타나게 된다. 어떤 사람들은 자기 감정을 솔직히 표현하는 것이 두려워서 마찰이 일어나는 것이 싫어서 자기 감정과 욕구를 억누르고 있다. 부정적인 감정들을 겉으로 표현하면 고통이 한결 가벼워지고 건강에 유익하다. 고통과 원한이 우리 안에 자신의 감정을 표현할 때는 솔직해야 한다.
때로는 자기 안의 부정적 감정을 정확히 보고 있으면서 남에게 표현할 때는 진짜 감정을 숨기고 다른 감정을 드러낸다. 정말 화가 나는데도 웃은 적이 없었는가?
마음으로 깊이 후회하면서 남에게 비난의 화살을 돌린 적은 없는가?
슬픈데도 실없는 농담을 한 적은 없는가? 우리가 민감하게 반응하면서 드러내는 감정 표현을 보면 실제의 감정을 보여주기보다는 본심을 감추기 위해서 방어기제를 사용하는 때가 많다. 자주 화를 내는 사람의 경우, 그 사람의 진짜 감정을 분노가 아니고 내면에 있는 두려움이나 슬픔, 후회를 표현하고 싶지 않아 화를 냄으로써 위장하는 것이다.
감정표현이 파괴적이어서는 안 된다. 파괴적이란 것은 야비한 말만 골라서 한다든 가, 상대를 비난 한다든 가 부정적인 감정을 아무 데서나 충동적으로 표현하는 것이다. 감정을 무조건 억압하는 것도 나쁘지만 아무 데서나 아무렇게나 터트리는 것도 나쁘다.
감정 표현이 파괴적인 것이 되지 않으려면 "나- 전달 법"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너 때문에"란 측면에서 표현하지 않는 것이다. 인간관계에서 문제가 생겼을 때 우리는 흔히 네 탓, 환경 탓으로 돌린다. 또한 문제가 해결되려면 내가 아닌 상대가 변화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러다 보면 핑퐁게임처럼 끊임없이 공격과 방어로 이어지면서 심리적 게임을 하게 된다.  
심리적 게임이란?, 관계에서 묵시적 지불을 하게 되는 상황이 습관적으로 반복해서 생기는 것이다. 심리적 게임의 하나는 상대를 비난하는 것이다."만약 네가 그러지 않았다면......"하는 식이다. 심리적 게임은 순환적이고 반복적이다.
심리적 게임을 중단하는 방법은 게임을 그만두는 것이다. "너 때문에"라는 표현을 사용하지 않고 내 안의 부정적 감정을 표현하기 위해서 "나- 전달 법"을 쓰면 된다. 친구가 지난번 약속에도 늦더니 이번에도 늦었을 경우 "나는 벌써 두 번째나 기다리게 되니까 시간도 아깝고 얼마나 화나는지 몰라" 하는 것이 적절한 감정표현이다.
효과적인 "나- 전달 법"이 되기 위해서,
(1) 나를 괴롭히는 상대의 행동을 비난하지 않고 객관적으로 서술한다.    
(2) 상대의 행동이 나에게 미치는 구체적인 영향을 설명한다.  
(3) 그 영향으로 인해서 내가 느끼는 감정을 정확하게 표현한다.
부정적 감정의 표현과 관련해서 특별히 화에 대해서 생각해 보자
친밀한 관계에서 화를 제대로 표현하지 못하는 것은 상대가 나를 좋아하지 않거나 사랑하지 않을 것이라는 두려움 때문이다.
친구나 가까운 사람에 대해 화가 났을 때 그 화를 솔직히 표현할 수 없다면 나중에 뒤에서 그에 대해 나쁘게 말하거나 엉뚱하게 다른 사람에게 화를 낼 것이다.
오늘날 많은 가정과 결혼생활이 대화단절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대화가 단절된 부부관계 에서는 상대의 내면 세계를 알 수 없기에 관계 개선을 할 수 없다.
일반적인 관계에서 보면 사람들이 화를 제대로 표현하지 못하는 이유는 화를 표현하면 갈등이 빚어지고 갈등은 하나님께서 원하시는 것이 아니라는 생각 때문이다.
갈등이란 인간관계에서 필연적으로 생기는 부산물이기에 갈등이 있어야 제대로 된 인간관계라 볼 수 있다. 예수께서도 이 세상에 사시는 동안 화를 억누르지 않았다. 그러므로 우리가 화를 내는 것은 하나님 뜻에 어긋나는 것은 아니다.
나의 부정적 감정과 내 자신을 동일시하지 말아야 한다. 지금 내가 화가 난다해도 그 화가 내 자신은 아니다.
부정적 감정이 내 마음을 차지하고 있을 때 그 감정과 나 자신을 분리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말을 자주 들려주어야 한다. "내가 지금 화는 나지만 그 화가 내 자신은 아니다." "지금 내가 실망하고 있지만 실망이 내 자신은 아니다." 만약 내가 가진 부정적 감정과 내 자신을 동일화시킨다면 예민하게 반응하게 되고 사태를 객관적으로 풀어가지 못한다.
감정과 자신은 동일한 것이 아니다.. 내 안에 부정적 감정이 있어도 한 부분에 불과한 부정적 감정 때문에 나를 비하해서는 안 된다.
식구를 위해 정성 들여 음식을 했는데, 맛이 없다고 조금밖에 먹지 않았다고 해서 다시는 음식을 하지 않겠다고 한다면 그는 음식과 자기 자신을 동일시 한 것이다.
내 안에 있는 부정적 감정이 내 자신은 아니지만, 그것은 어디까지나 내 안에 있는 것임에 유념해야 한다. 내가 불쾌한 것이지 다른 사람이 불쾌한 것이 아니다.  
만약 이 점을 구분할 줄 모르면 민감하게 반응하게 된다.
상처를 받은 사람은 마치 치통을 앓는 사람처럼 자기만을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자기만을 생각하기에 다른 이와의 관계에서 민감하게 반응한다. 민감하게 반응하다 보면 또 다른 상처를 받게 된다. 그러다 보면 상처를 계속 받게 되고 이제는 누구를 만나든 더 이상 다치지 않겠다고 자기를 보호하게 된다. 자신을 보호하는데 급급하다 보니 여유가 없다.
상대의 말 한마디나 행동에 대해 지나치게 예민하게 반응하기보다는 여유 있게 선택하여야 한다. 우리의 행위들은 많은 경우 자동적으로 그리고 거의 반복적으로 우리를 둘러싼 사람들과 환경에 자동적으로 그리고 지배를 받는다..
"너 옷 입은 게 왜 그렇게 촌스러우니", "보나마나 뻔해" 등의 말을 들을 때 흥분해서 반응하기보다는 여유로운 마음을 갖고 선택된 행동을 해야한다.
자유와 해방을 살아가는 최선의 길은 매 행위 때마다 깨어 있으면서 선택된 행위를 하는 것이다. 우리가 반응하게 되면 반응하는 그 만큼 우리는 마음의 평화를 잃는다.
하지만
반응하지 않고 선택한다면 우리는 상처를 덜 받으면서 지낼 수 있다.

 

금주 :: 네이버 카페